프로그램/공부
Chat GPT와 함께 공부하기
smokylatte
2025. 8. 11. 17:35
질문:
너는 엄청난 실력을 가지고 있는 천재 개발자야. 나는 현재 .net core 개발을 배우려고 하는 학생이야. 무엇을 어디서 부터 시작했으면 좋을지 아무것도 몰라. 너는 나를 너처럼 훌륭한 개발자로 이끌어 줘야돼. 개발환경 세팅부터 시작하여 요즘 최신 기술을 이용한 프로젝트 개발까지. 그리고 요즘 최신 아키텍쳐를 적용한 프로젝트 세팅 및 개발까지 전부 가르쳐줘. 1년의 계획을 세우고 차근찬근 가르쳐줘.
답변:
좋아! 앞으로 1년 동안 내가 너의 .NET 코치가 될게. “무엇을 어디서부터”가 막막한 상태라고 했지? 그럼 기초 → API → 데이터 → 인증 → 프런트/전체 구조 → 클라우드/운영 순서로,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프로젝트를 계속 키워가며 배우자.
(2025‑08 기준으로) 개발은 안정적인 .NET 8 LTS를 기본으로, 중간에 최신 기능은 **.NET 9(STS)**에서 맛보는 방식으로 갈 거야. .NET의 LTS/STS 정책과 현재 버전 상태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정책을 기준으로 정리했어. (Microsoft)
로드맵 한눈에 보기 (12개월)
학습 철학
- 처음엔 모듈러 모놀리스 + 클린 아키텍처로 빠르게 가치 제공 → 필요할 때만 쪼갠다(마이크로서비스). 이 접근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현대적 웹앱 가이드와 eShopOnWeb 샘플에서도 추천 흐름을 볼 수 있어. (Microsoft Learn, GitHub)
- 가시성과 운영 품질은 초중반부터 OpenTelemetry로, 후반엔 .NET Aspire로 개발·로컬오케스트레이션을 통일한다. (OpenTelemetry, Microsoft Learn)
- 컨테이너는 Dockerfile 없이도 .NET SDK로 바로 만들 수 있으니, 배포 자동화가 쉬워진다. (Microsoft Learn)
0개월차(준비 주간): 개발환경 세팅
- OS 상관없음. 필수 설치:
- .NET SDK 8 (LTS) / 9(옵션), dotnet --info 확인
- 에디터: Visual Studio 2022 또는 VS Code(C# Dev Kit)
- Git, Docker Desktop, Postgres(로컬은 Docker), HTTP 클라이언트(REST Client/Insomnia 등)
- “헬로월드”로 CLI 감 익히기
- dotnet new webapi -n MyApp.Api -f net8.0 dotnet run --project MyApp.Api
- 컨테이너 퍼블리시 맛보기(진짜 간단함):위 명령은 Dockerfile 없이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푸시할 수 있게 해준다. (Microsoft Learn)
- dotnet publish MyApp.Api --os linux --arch x64 /t:PublishContainer
1개월차: C# & .NET 기본기 단단히
- C# 문법, 컬렉션/제너릭/LINQ, 비동기( async/await ), 예외 처리.
- 작은 콘솔 앱 2개(파일 파서, 미니 TODO) + xUnit 단위 테스트.
- 주차별 목표
- 1주: 타입/흐름 제어/컬렉션
- 2주: OOP, 인터페이스, 예외
- 3주: LINQ/비동기/파일 IO
- 4주: 단위 테스트/리팩터링
2개월차: ASP.NET Core로 API 시작(미니멀/컨트롤러 둘 다 익히기)
- Minimal API 철학과 라우팅/모델 바인딩/검증/에러 응답(ProblemDetails). (Microsoft Learn)
- Swagger, 필수 미들웨어(로깅, 예외) 셋업.
- 과제: “도서관리 API” CRUD + 유효성검사 + 통합테스트(WebApplicationFactory).
3개월차: 데이터 영속화 & 클린 아키텍처
- EF Core로 Postgres 연동, 마이그레이션/시드/트랜잭션/낙관적 동시성.
- 클린 아키텍처 레이어( Domain / Application / Infrastructure / API )로 재구성 + CQRS(핸들러) 도입.
- eShopOnWeb 구조를 읽어보고, 우리 프로젝트에 맞춰 슬림하게 적용. (GitHub)
4개월차: 인증/인가, 보안 기초
- JWT 기반 로그인, 역할/정책 기반 권한, 비밀번호 해시/리셋 플로우.
- “인증 서버”가 필요한 수준이면 OpenIddict로 OIDC 서버를 자체 호스팅해보자(완전 오픈소스). (OpenIddict)
- 비밀 관리(User Secrets, 환경변수), HTTPS/개발 인증서.
5개월차: 프런트 엔드 옵션 & BFF
- **Blazor Web App(.NET 8+)**으로 관리자 UI 빠르게 붙이기(서버 렌더링 + 필요 부분만 상호작용 “렌더 모드”). (Microsoft Learn)
- 또는 React/Vue 택1 + BFF(백엔드‑포‑프런트) 패턴.
- 과제: 관리자 UI에서 재고/주문 관리, 인증 연동.
6개월차: API 고급 기능 & 성능
- 페이징/필터/정렬, 파일 업로드, 웹훅/이메일, 레이트 리미팅과 출력 캐싱으로 방어/속도 ↑. (Microsoft Learn)
- gRPC를 추가로 경험(서비스 간 고성능 통신). (Microsoft Learn)
- 과제: 통계 API에 출력 캐싱 정책 추가, 레이트 리미팅 정책 비교 실험.
7개월차: 관측성(Observability)과 테스트 전략
- **OpenTelemetry(.NET)**로 로그/메트릭/트레이스 표준화 → 콘솔/OTLP(로컬 수집기)로 확인. (OpenTelemetry)
- 통합테스트에서 DB/Redis/RabbitMQ를 Testcontainers for .NET으로 “테스트 때만” 띄우는 법 익히기. (로컬에 설치 없이 도커 컨테이너로 테스트 리소스 제공) (Testcontainers for .NET)
- 과제: 주요 유스케이스에 E2E 테스트 파이프라인 구축.
8개월차: 메시징/비동기 처리
- 이벤트 발행‑구독, 사가/아웃박스, RabbitMQ + MassTransit로 비동기 처리 도입. (MassTransit)
- 장애 복구/멱등성/재시도 정책 설계.
9개월차: 클라우드‑네이티브로 전환 밑그림
- .NET Aspire로 멀티 프로젝트(프런트+API+DB+브로커)를 한 번에 실행/관찰하는 개발자 대시보드/오케스트레이션 경험. (로컬 개발 편의에 초점, 프로덕션 오케스트레이터 대체 아님) (Microsoft Learn)
- 컨테이너 퍼블리시 파이프라인 정리(/t:PublishContainer, 레지스트리 푸시/서명/스캔). (Microsoft Learn)
10개월차: CI/CD & 배포
- GitHub Actions: 빌드/테스트/보안스캔/컨테이너 푸시.
- Azure Container Apps로 무중단 배포(리비전, 스케일). GitHub Actions 전용 액션으로 손쉽게 배포 자동화. (Microsoft Learn, GitHub)
- (원하면 AWS/EKS, GCP/Cloud Run도 유사 패턴으로 확장)
11개월차: 성능·최적화·AOT
- 프로파일링(dotnet‑counters/trace), 메모리/할당 줄이기, 캐싱 전략 고도화.
- Native AOT: 미니멀 API/Worker를 AOT로 빌드해 콜드 스타트/메모리 최적화 체감(지원 대상과 제약을 문서로 확인). (Microsoft Learn)
12개월차: 캡스톤(실무형)
- 주제 예시: “이벤트 예약/결제 플랫폼”
- 모놀리스로 시작 → 모듈(도메인) 경계 확립 → 한두 개만 서비스로 분리
- 관측성/알림/대시보드, 장애 주입 리허설, 비용 모니터링
- 문서화/운영 핸드북/런북 정리
지금 당장 따라할 스타트 템플릿(모놀리스 + 클린 아키텍처)
mkdir Shop && cd Shop
dotnet new sln -n Shop
# 레이어
dotnet new classlib -n Shop.Domain -f net8.0
dotnet new classlib -n Shop.Application -f net8.0
dotnet new classlib -n Shop.Infrastructure -f net8.0
dotnet new webapi -n Shop.Api -f net8.0
# 참조 연결
dotnet add Shop.Application reference Shop.Domain
dotnet add Shop.Infrastructure reference Shop.Domain
dotnet add Shop.Api reference Shop.Application
dotnet add Shop.Api reference Shop.Infrastructure
dotnet sln add **/*.csproj
참고용 구조/아이디어: Microsoft의 eShopOnWeb(클린 아키텍처/모놀리스 샘플). 코드를 훑어보며 프로젝트 경계를 감 잡자. (GitHub)
학습 체크리스트(반복 루틴)
- 매 주: 한 기능을 작게 정의 → TDD 또는 최소 테스트 → API/DB/로그/트레이스를 묶어서 완성
- 매 달: 회고(10분) – 무엇이 아쉬웠나? 다음 달에 뭘 자동화/표준화할까?
- 항상: 관측성(로그·메트릭·트레이스) 없으면 버그를 “추측”하게 된다 → OpenTelemetry 기본 셋업은 초기에 끝내두자. (OpenTelemetry)
추천 주제별 공식 문서(필수 북마크)
- .NET LTS/STS와 현재 버전: 지원 정책 페이지. (Microsoft)
- Minimal API 개요/샘플. (Microsoft Learn)
- 컨테이너를 dotnet publish만으로 만들기. (Microsoft Learn)
- OpenTelemetry for .NET (로그/메트릭/트레이스). (OpenTelemetry)
- Testcontainers for .NET(테스트에서 인프라 의존성 띄우기). (Testcontainers for .NET)
- Rate Limiting/Output Caching. (Microsoft Learn)
- gRPC in ASP.NET Core. (Microsoft Learn)
- .NET Aspire(클라우드‑네이티브 개발자 경험). (Microsoft Learn)
- eShopOnWeb & “현대적 웹앱” eBook. (GitHub, Microsoft Learn)
- Azure Container Apps + GitHub Actions 배포. (Microsoft Learn)
다음 액션(오늘 시작)
- SDK/에디터/Docker 설치 후 dotnet --info 확인.
- 위 템플릿으로 Shop 솔루션 생성 → 깃 저장소 초기화 → 첫 커밋.
- Shop.Api에 /health Minimal API 엔드포인트 하나 추가.
- Postgres 컨테이너 띄우고 연결 문자열 환경변수에 주입.
- Swagger 켜고, 간단한 Products CRUD 작성.
- OpenTelemetry 의존성 추가 후 콘솔/OTLP로 트레이스가 찍히는지 확인.
- dotnet publish --os linux --arch x64 /t:PublishContainer로 이미지 빌드해보기.